남원 광한루원 야경(야간 개장), 화인당 한복대여
이 글은 이전 포스트(아래의 링크)에서 이어지는 글입니다.
남원 한옥 숙소 - 스테이리운 사랑채
이 글은 이전 포스트(아래의 링크)에서 이어지는 글입니다. 남원 빵집 명문제과, 한옥 카페 산들다헌이 글은 이전 포스트(아래의 링크)에서 이어지는 글입니다. 남원 추어탕 맛집 현식당, 카
mtssc.tistory.com
이번 남원 여행의 숙소 '스테이리운'에서 체크인을 한 후, 잠시 쉬었다가 남원의 랜드마크인 광한루 관람을 위해 다시 밖으로 나왔습니다.
숙소에서 걸어서 2~3분이면 광한루원 입구에 도착할 수 있어서 정말 편하고 좋았는데요. 광한루원 주변 거리도 예스럽고 전통적인 분위기가 가득해서 정말 좋았어요.
남원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는 전주의 유명 관광지인 전주한옥마을과도 비슷한 분위기였는데요. 전주한옥마을보다는 규모가 작지만, 대신에 그만큼 더 한적해서 편안히 걷기 좋았어요 ㅎㅎ
광한루원 앞 작은 광장에는 남원을 배경으로 한 판소리 춘향가(春香歌)의 주인공, 몽룡과 춘향의 동상이 서 있어서 남원 여행에 온 것을 실감 나게 해 줍니다 ㅎㅎ
광한루원으로 입장하기 전에 제가 이용한 숙소에서 프로모션으로 받은 한복 교환권이 있어서, 한복을 입고 광한루원에 들어가 보기로 했어요.
제가 한복을 대여하려고 방문했던 곳은 광한루원 동편에 위치하고 있는 '화인당'이라는 한복 대여 전문점이었는데요.
광한루원 바로 맞은 편에 있어서 위치도 좋고, 한복 종류도 다양한 데다가 상태도 좋았고요. 무엇보다도 직원분들도 아주 친절하셔서 정말 좋았어요.
프로모션으로 받은 한복 교환권이 2인용인데 저는 혼여로 남원을 방문했어서 교환권이 한 장 남게 됐는데요. 그건 다음 날 다시 화인당에 방문해서 다른 한복을 대여하고 광한루원을 한 번 더 돌아다녔답니다 ㅎㅎ
한복 대여하는 공간은 다른 손님들도 계셔서 사진을 찍지 않았고요. 제가 입은 한복은 인생 네 컷 사진과 광한루원에서 돌아다니면서 찍은 사진을 통해서 보여드립니다.
화인당 내부에 인생네컷인생 네 컷 기계가 있어요! 한복을 다 갈아입고 나오니 직원 분께서 2층으로 올라가면 인생 네 컷 사진을 찍을 수 있다고 알려주셔서 가보니 정말 사진 찍는 기계가 있더라고요 ㅎㅎ 2층 공간은 사람도 없고 조용해서 혼자 열심히(?) 사진 찍고 내려왔답니다 ㅋㅋㅋ
그리고 이 사진은 광한루원에서 돌아다니다가 저처럼 화인당에서 한복 대여 하시고 사진 찍고 계시던 다른 분과 함께 찍은 거였어요. 즉석에서 같이 사진을 찍자고 제안해 주셔서 저도 덕분에 예쁜 사진을 건질 수 있었습니다. (이 글을 통해서 다시 한번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ㅎㅎ)
자, 이제 한복을 차려 입었으니 이몽룡이 된 기분으로(?) 광한루원을 산책해 보기로 했습니다.
광한루(廣寒樓)는 1419년, 남원으로 유배 온 황희(1363~1452)가 광통루라는 이름으로 누각을 지은 것으로 역사가 시작됩니다. 이후 1444년, 전라도 관찰사로 부임한 정인지(1397~1478)가 광통루에 올라 경치를 감상하면서 이곳의 이름을 바꿨는데요.
그는 광통루 주변 풍경을 보고는 이곳의 풍경이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달의 여신 항아가 사는 월궁 속에 있는 광한청허부와 같다고 하여, 그 이름을 따서 이곳을 광한루라 불렀습니다. 그리고 오늘날까지 광한루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다만 세종 시대에 지은 누각은 16세기 말 정유재란으로 소실되었고요. 지금의 누각은 1638년에 다시 지은 것입니다. 이후에 여러 차례 중수를 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으며, 현재는 대한민국의 보물 제281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한국의 다른 누각들과 달리 광한루는 내부로 진입하는데 사다리가 아닌 계단을 설치하고 계단을 감싸는 월랑(다락)을 설치하여 더욱 화려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데요.
이것은 19세기 후반에 광한루가 점차 북쪽으로 기우는 문제가 발생하자, 이에 대한 대책으로 누각 북쪽에 계단을 설치하면서 기둥을 함께 세워 누각이 기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든 것이라고 합니다.
덕분에 건물이 기우는 것도 방지하고, 더욱 더 화려한 외관을 갖추게 되었으니, 실용성과 아름다움까지 모두 더한 묘책이었다고 할 수 있지요 ㅎㅎ
이 화려한 월랑을 지나 광한루에 올라 서서 아름다운 풍광을 감상한다면 더없이 좋았겠지만, 아쉽게도 문화유산 보호를 위해 내부 관람은 제한되어 있었어요.
내부 관람은 할 수 없지만 광한루 앞에 광한루를 축소한 모형을 전시해두어서 전체적인 구조를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광한루는 그 자체로도 멋있지만, 누각을 둘러싼 주변 풍경과 어우러져서 더 아름답게 보이는데요. 특히 광한루 옆을 가로지르는 오작교와 한 쌍이 되어 매우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냅니다.
이 오작교는 1582년에 광한루를 수리할 때 은하수를 상징하는 호수를 파고 그 위에 세운 돌다리인데요. 정유재란 시기에 불에 타버려 한 차례 소실된 광한루와 달리 오작교는 처음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고 합니다.
광한루원의 호수가 은하수를 상징하는 것이었기에 호수를 가로지르는 이 다리는 견우와 직녀의 전설에 등장하는 오작교에서 이름을 그대로 따서 오작교라고 부릅니다. 견우와 직녀의 전설 속 오작교를 표현한 것이라 그런지 이 다리를 건너면 부부 금슬이 좋아진다는(...) 전설이 전해진다고 합니다. 그러면 솔로가 건너면...?
이런 전설이 있었기 때문인지, 춘향전의 이몽룡과 춘향의 운명적인 만남도 바로 이 광한루에서 이루어졌습니다 ㅎㅎ
광한루 앞 호숫가도 천천히 둘러보며 걷기 좋은데요. 호수에는 금슬의 상징인 원앙이 한가로이 노니는 모습도 볼 수 있었습니다. 여기저기 사랑의 상징이 가득한 광한루원입니다 :)
광한루원에는 광한루 외에도 여러 누각들이 있는데요.
1582년 호수 위에 오작교를 세울 때 호수에 함께 조성한 세 개의 섬 중 한 곳에 누각을 하나 세웠는데, 바로 이 영주각(瀛洲閣)입니다. 다만 이 누각 역시 정유재란의 화를 피하지 못해 소실되었다가 1795년에 재건된 것이라고 합니다.
그 외에 20세기에 새롭게 지은 완월정과 방장정도 역사적인 건축물들과 함께 어우러져 있습니다. 광한루원은 공간이 아주 넓지는 않으나 산책하면서 천천히 둘러보면 정말 좋은 공간이었습니다.
우리 선조들은 광한루원을 통해 옥황상제가 사는 세계를 표현하려고 했다는데요. 옥황상제가 사는 곳에 가보지 않아서 정말 그런 세계와 비슷한지는 모르겠으나(ㅋㅋㅋ) 마음이 평온해지고 기분도 좋아지는 우리의 전통 정원이었습니다 :)
이번에는 광한루원의 야경을 소개합니다.
광한루원은 밤 9시(동절기에는 8시)까지 운영을 하고 있어서 야간에도 입장이 가능한데요. 저녁 6시 이후로는 무료입장이 됩니다. 즉, 무료로 야경을 감상할 수 있다는 의미죠!!!
언제나 야간 개장을 하는 곳이어서 그런지 주말 밤인데도 불구하고 사람이 많지 않았어요. 그래서 매우 한산하고 여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광한루의 아름다운 야경을 감상할 수 있었습니다.
낮과는 또 다른 매력적인 분위기로 가득했는데요. 광한루와 오작교의 야경은 마치 다른 세계에 온 것 같은 기분이 들 정도로 신비로운 분위기를 만들어냈어요.
개인적으로 서울의 고궁 야경이나 경주의 동궁과 월지의 야경도 굉장히 좋아하는데요. 광한루원은 그와는 또 다른 매력이 있었습니다.
날씨가 꽤 쌀쌀했음에도 풍경이 너무 아름다워서 저는 호숫가 벤치에 앉아서 한참동안 이 풍경을 감상했습니다. (서울의 고궁 야경 및 경주 동궁과 월지 야경 관련 포스트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
창덕궁 야간 개장 - 창덕궁 달빛기행
오늘은 2017년 가을에 창덕궁 특별관람 프로그램, 에 다녀온 후기를 포스팅합니다. 다녀온 지 벌써 3년 반이나 지났는데요(...). 포스팅하는 것을 잊고 있다가, 얼마 전에 사진 폴더를 정리하다가
mtssc.tistory.com
경복궁 별빛야행 - 야간해설탐방
경복궁 별빛야행 이야기 계속해서 이어갑니다 :)전반부에는 도슭수라상이라는 수라상을 모티브로한 도시락으로 식사를 하며,아름다운 국악 공연을 감상했구요.저녁 식사 후에는 해설사 분과
mtssc.tistory.com
경주 동궁과 월지(안압지) 야경
경주 여행 첫날의 여정은 신라시대의 별궁으로 알려진 를 가보는 것으로 마무리하기로 했습니다. 이곳은 한때 '안압지(雁鴨池)'라는 명칭으로 잘 알려진 곳인데요. 안압지라는 이름은 조선시대
mtssc.tistory.com
늦가을의 차가운 공기를 마시며 광한루원을 한바퀴 둘러보고 숙소로 돌아오는 것으로 남원에서의 첫날을 마무리했습니다 :)
※ 남원 광한루원 정보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요천로 1447
찾아가는 방법: 남원역에서 남원 시내버스 3-164, 4-101, 5-134 등 버스 탑승,
'남문로사가.삼진약국'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 도보 6분
운영시간: (4월~10월) 08:00-21:00 / (11월~3월) 08:00-20:00
입장료: 4,000원(18:00 이후 무료입장)
홈페이지: https://www.namwon.go.kr/tour/index.do?menuUid=ff8080818e5f3f48018e5fd463ad0051